YLOG

[생활정보] 숨이 자꾸 차요, 호흡이 가빠요! | 숨이 차는 증상 해결방법 본문

생활정보

[생활정보] 숨이 자꾸 차요, 호흡이 가빠요! | 숨이 차는 증상 해결방법

0seok 2022. 2. 4. 13:06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자꾸 호흡이 차는 증상이 나타나거나, 호흡이 거칠어 지시는분들을 위해 포스팅을 제작해보았습니다. 호흡에 문제가 생기는 원인과 해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숨이 가쁘고, 숨이 차는 증상 원인

숨이 가쁘고, 숨이 차는 증상이 단순 운동부족이여서가 아니라,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될 증상입니다. 이 문제를 방치하였다간 추후에 큰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숨이 차는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 기침과 동봉되는 숨이 차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땐 만성 폐질환을 의심해볼 수가 있습니다.  만성 폐질환이란, 기침과 가래가 동봉되고 언덕이나 계단을 오를때 숨이차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만성으로 진행된다면 평지를 걸을때에도 호흡이 가빠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은 흡연, 유전적인 이유, 환경적인 이유로 다양하며 흔하게 나타납니다. 해결 방법은 병원에서 확실한 병명을 진단받아 호흡약제를 사용하시는 방법입니다, 또한 운동 (걷기) 을 병행하시면 증상이 많이 호전됩니다. 

 

※ 호흡이 차고 졸도 할것 같은 기분이 들거나, 죽을거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불안증이 원인이 될수가 있습니다. 불안증에는 공황장애, 과호흡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공황장애는 일상생활을 잘하고 있다가 어느순간 갑자기 극심한 초초함과 불안함을 느끼고 호흡에 부담을 느끼는 증상을 보이고 손발 저림 등에 증상도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원인은 심리적인 원인, 신체적인 원인 등과 같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일안에 병원에 가셔서 진단을 받으시고 약을 처방 받는게 옳은 방법입니다. 

 

정말 힘들겠지만, 얼른 검진을 받고 치료을 얼른 받아 보시는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듭니다. 

 

※ 빈혈, 알레르기, 등과 같은 증상으로 호흡 가쁨, 숨이 찬 증상

 

빈혈으로 인하여 호흡가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빈혈이라 함은 몸에 있는 철분이 부족해서 생기는 증상인데, 어지럼증과 동봉되어 호흡이 차는 증상을 보이실 수 있습니다. 심하면 졸도까지 할 수 있으니, 혹시 내가 빈혈인가? 하시는 분들에게는 비타민 C 와 같은 영양소를 많이 섭취해주시고, 수분 섭취도 적당히 해주셔야 예방이 됩니다. 

 

알레르기 성 같은 경우에는 본인 몸에서 거부하고 알레르기 성분이 몸에 들어 왔을때, 몸이 방어기제로 나타나는 증상이 될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 성 같은 경우 심각하면 사망에 이르실 수 있으니 본인이 어떤 알레르기를 앓고 있는지 잘 확인하셔서 음식과, 약품 등과 같이 체내에 들어올 수 있는 성분에 대해서 잘 인지하시고 예방책을 세워두셔야 합니다. 만일 대비하지 못하셨을땐, 빠르게 응급실을 찾으시는게 옳은 방법입니다. 

 

 

 

2. 숨이 차는 증상 해결방법

숨이 차는 증상에는 위 설명과 같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해결방법은 일단 모든 병에 근원은 스트레스입니다. 스트레스에 대해 온전히 관리를 하셔야 되며, 스트레스를 관리하시는 방법은 여러가지인데 대표적으로 취미 활동 (운동, 음악듣기,영화 보기, 독서, 글쓰기) 등등이 있으며 주말이나 시간이 나실때 근처 산책로에서 주변 풍경을 보면서 걷기를 하시는것도 스트레스, 우울감 해소에 매우 좋습니다.

 

호흡이 찬다면 빠른 시일내에 병원에 찾아가서 정확한 병명을 진단받으시는것이 좋으시며 내 병명에 대해 확실히 알아야 관리하기도 쉽습니다. 증상이 나타나시는분들은 많이 힘드실겁니다. 그럴때일수록 본인 의지가 더더욱 중요합니다. 관리를 시작하셔야 몸도 좋아지고 증상도 호전이 될 수 있습니다. 

 

3. 마무리하며 

 

오늘은 숨이 가빠지는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새해가 시작되었고 몸을 열심히 건강하게 관리하셔서 올해는 행복하고 기쁜 날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에도 더 좋은 포스팅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제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